영화 소개
2018년에 개봉한 SF 영화로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했다. 어니스트 클라인이 쓴 동명의 소설 레디 플레이어 을 바탕으로 한다. 오아시스라는 가상현실 게임이 지배하는 2045년의 미래시대를 배경으로 한 전형적인 청소년 모험물의 구도를 따르고 있습니다. 제목인 레디 플레이어 원은 소싯적 2인용 게임에서 1P를 골라 시작하면 나오는 메시지(즉, 직역하면 "플레이어 준비하세요")에서 따왔습니다. 오아시스의 개발자는 자신의 어린 시절의 문화를 통달해야만 풀 수 있는 퍼즐 속에 엄청난 보물을 숨겨두었고 플레이어들은 이를 찾기 위해 엄청난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1980년대, 1990년대 비디오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TRPG 등에 대한 각종 레퍼런스들로 가득하다. 이 때문에 원작 소설은 상업적으로는 성공했지만 추억팔이 수준으로 개연성 없이 마구 각종 요소를 집어넣어 설명을 해대는지라 소설적 완성도는 부족해서 정작 대상 독자층인 1980년대에 청소년이었던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영화판은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오랜만에 SF 장르를 연출하면서 기대를 모았습니다.
일단 '판권 문제'와 '시대상' 때문에 등장시키는 캐릭터부터 아주 달라지는 듯하고, 원작의 1980년대 이외에도 다양한 최신 작품의 캐릭터들도 많이 등장합니다. 전반적으로 백 투더 퓨처의 느낌이나 비중이 상당히 큰 편입니다. 특히 포스터는 1980년대 모험영화를 대놓고 오마주를 했습니다.
영화 줄거리 및 특징과 주제
2045년, 지구는 환경 파괴와 경제 위기, 과잉 인구로 인해 빈곤과 혼란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암울한 현실에서 사람들은 가상현실 세계인 '오아시스(OASIS)'에서 위안을 찾습니다. 오아시스는 단순한 게임이 아닌, 사람들이 일하고,
공부하고, 놀이를 즐기는 또 다른 현실이 되었습니다. 주인공 웨이드 와츠(타이 셰리던)는 '파시발'이라는 아바타로 오아시스에 접속하는 18세 소년입니다. 그는 빈민가에서 이모와 그녀의 남자친구와 함께 살고 있지만, 현실에서의 고단한 삶을 잊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오아시스에서 보냅니다. 영화는 오아시스의 창시자인 제임스 홀리데이(마크 라일런스)가 사망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홀리데이는 유언을 통해 오아시스 안에 숨겨둔 '이스터 에그(Easter Egg)'를 찾는 사람에게 자신의 막대한 유산과 오아시스의 소유권을 넘기겠다고 발표를 합니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은 세 개의 열쇠를 찾아 세 개의 관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이 소식에 전 세계 사람들이 열광하며 이스터 에그를 찾기 위한 경쟁에 뛰어듭니다.
웨이드 역시 이 경쟁에 참여하며, '건터(Gunter: Egg Hunter의 줄임말)'라 불리는 수많은 참가자들 중 한 명이 되게 됩니다. 웨이드는 오아시스에서 만난 아르테미스(올리비아 쿡)와 함께 첫 번째 열쇠의 단서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첫 번째 관문을 통과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에이치, 다이토, 쇼라는 다른 건터들과 팀을 이루게 됩니다. 한편, 거대 기업 IOI(Innovative Online Industries)의 CEO인 놀란 소렌토(벤 멘델슨)는 회사의 이익을 위해 이스터 에그를 차지하려 합니다. 그는 수많은 직원들을 동원해 게임에 참여하고, 불법적인 방법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웨이드와 그의 친구들은 두 번째 열쇠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IOI의 방해에 부딪힙니다. 소렌토는 웨이드의 정체를 알아내고 그를 제거하려 하지만, 웨이드는 간신히 탈출에 성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웨이드는 아르테미스의 실제 모습인 사만다를 만나게 되고, 둘은 서로에게 끌리게 됩니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웨이드와 그의 친구들은 마지막 열쇠를 찾기 위해 IOI와 치열한 전투를 벌입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오아시스의 다른 사용자들의 도움을 받아 대규모 전투를 펼치게 되는데, 결국 웨이드는 마지막 관문을 통과하고 이스터 에그를 차지하게 됩니다. 영화의 결말에서 웨이드는 오아시스의 새로운 소유자가 되어 친구들과 함께 이를 운영하게 됩니다.
그는 홀리데이의 유지를 받들어 오아시스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기로 결심합니다. 또한, 현실 세계의 중요성을 깨닫고 일주일에 이틀은 오아시스를 닫아 사람들이 현실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합니다. 영화의 특징과 주제로는 80년대 팝 컬처에 대한 오마주 "레디 플레이어 원"은 80년대의 영화, 음악, 게임 등 다양한 팝 컬처 요소들을 풍성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이는 오아시스 창시자인 홀리데이가 80년대 문화를 좋아했다는 설정에서 비롯됩니다. 영화 속에는 "백 투 더 퓨처", "쥬라기 공원", "샤이닝" 등 유명 영화의 장면들과 다양한 게임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관객들에게 향수와 재미를 선사합니다. 가상현실과 현실의 대비 영화는 암울한 현실과 화려한 가상세계를 대비시키며, 현실도피의 위험성과 동시에 가상현실이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함께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대한 질문을 합니다. 우정과 협력의 중요성 웨이드가 혼자의 힘으로는 이룰 수 없었던 목표를 친구들과의 협력을 통해 달성하는 과정은 영화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개인주의가 만연한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볼 수 있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기업의 행태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현실과 이상의 균형 영화의 결말에서 웨이드가 오아시스를 주 5일만 운영하기로 결정하는 장면은 가상세계와 현실 세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 속에서 인간다움을 잃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감상평
"레디 플레이어 원"은 화려한 비주얼과 액션, 그리고 80년대 팝 컬처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요소들로 관객들에게 큰 즐거움을 나타냅니다. 특히 스필버그 감독 특유의 모험 영화 연출력이 돋보이며, 복잡한 가상현실 세계를 설득력 있게 구현해 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원작 소설에 비해 영화가 다소 단순화되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원작에서 더 깊이 다뤄졌던 캐릭터들의 내면이나 사회 비판적 메시지가 영화에서는 다소 약화되었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80년대 문화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새로운 세대의 관객들에게는 공감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도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디 플레이어 원"은 현대 기술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면서도 인간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화려한 액션과 모험 속에서도 우정, 사랑, 현실과 이상의 균형 등 보편적인 가치를 다루고 있어, 단순한 오락영화를 넘어선 깊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레디 플레이어 원"은 미래 사회에 대한 흥미로운 상상과 함께, 현재 우리가 직면한 기술과 인간성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는 작품입니다. 스필버그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과 풍성한 문화적 레퍼런스, 그리고 보편적인 주제의 조화가 이 영화를 기억에 남는 SF 어드벤처 작품으로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가 나타내는 영상 및 설정이 어릴 적 한 번쯤은 생각해 본 내용으로 재미가 더 해집니다.